임대인도 계약 전에 준비해야 할 게 많습니다
임대계약은 임차인만 준비하는 게 아닙니다.
임대인, 즉 집주인도 계약 전·후로 꼭 처리해야 할 절차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신규 임차인이 들어오기 전에는 관리비 정산부터 물품 인수인계, 전세금 반환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두어야 다음 세입자와의 관계도 원활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 계약 시 임대인이 반드시 챙겨야 할 5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특히 처음 임대사업을 시작하거나, 1인 임대인으로 직접 대응하는 경우 꼭 체크해보세요.
계약 사고를 줄이고, 임대인의 법적 책임도 가볍게 만들어주는 핵심 항목들입니다.
1️⃣ 사용료 정산 확인 – 기존 세입자와의 비용 정리부터
전출하는 세입자와 함께 관리비, 수도요금, 가스비 등 공과금 정산을 완료해야 합니다.
입주일 기준으로 정확히 정산하지 않으면 추후 체납 고지서가 임대인에게 날아올 수 있습니다.
✔ 어디서 확인할까?
- 관리비: 아파트 관리사무소
- 가스비: 지역 도시가스사 고객센터 (예: 서울도시가스)
- 수도요금: 관할 시청 또는 수도사업소
✔ 팁
- 이전 세입자에게 마지막 고지서 or 납부확인서 요청
- 전입 세입자에게는 초기 사용량이 0이 아님을 고지하면 분쟁 예방 가능
2️⃣ 아파트 물품 확인 – 열쇠, 카드키, 비밀번호 인수인계
새로운 임차인에게는 기본적인 출입 수단을 빠짐없이 전달해야 합니다.
누락되거나 상태가 불량하면, 입주 첫날부터 민원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확인할 항목 리스트
- 공동현관 카드키 (예: 무선 키 2개 이상)
- 현관 비밀번호 초기화 및 공유
- 방 문, 현관문 열쇠 작동 확인
- 우편함 열쇠 유무
✔ 인수인계 방법
- 현장 방문 시 직접 전달
- 부재 시 중개사를 통해 전달하고 항목 리스트를 문자나 사진으로 공유
3️⃣ 아파트 하자 확인 – 사진 촬영으로 기록 남겨야
새 임차인이 들어오기 전, 집 상태에 대한 하자 여부를 확인하고 기록으로 남겨야 나중에 퇴실 시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확인할 곳
- 벽지 찢김, 곰팡이, 바닥 찍힘, 샤워기 고장 등
- 에어컨 작동 여부, 보일러 이상 유무, 싱크대 누수 확인
✔ 사진 기록 요령
- 하자 있는 부분은 스마트폰으로 전체 2~3컷 촬영
- 보관 후 문자나 카톡으로 임차인에게 전송 → "입주 전 상태 기록용"
4️⃣ 신규 임차인 잔금 확인 (in) – 입금 확인 후 열쇠 인계
잔금이 정상적으로 입금된 것을 계좌이체 내역 또는 문자로 확인한 후, 임차인에게 출입 정보 및 물품을 인계합니다.
잔금이 입금되지 않았는데 먼저 열쇠를 건네는 실수는 절대 금지입니다.
✔ 확인 순서
- 계약서에 기재된 잔금 계좌로 입금 확인
- 본인 명의 계좌가 맞는지 체크
- 문자 또는 카톡으로 “잔금 입금 확인했습니다. 입주 준비하세요” 전송
✔ 그 다음에 할 일
- 비밀번호 전달 (현관, 공동현관)
- 열쇠, 카드키, 가전 사용법 안내
5️⃣ 기존 임차인 보증금 반환 (out) – 계좌이체 기록 꼭 남기기
기존 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줄 때는 계좌이체를 원칙으로 하며, 계좌 명의와 금액을 정확히 기록해야 합니다.
현금 반환 또는 대리 수령은 추후 분쟁 소지가 매우 높습니다.
✔ 이체할 때 확인할 것
- 계약서상의 임차인 본인 명의 계좌인지 확인
- 이체 메모: “2025.06 전세금 반환 ○○○(임차인 이름)”
✔ 보관 팁
- 이체 내역 캡처 → 파일 또는 사진으로 보관
- 문자로 “보증금 입금 완료했습니다” 통보
임대인이 먼저 정리하면, 좋은 세입자와 오래 갑니다
부동산 임대는 단순한 공간 대여가 아니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장기 계약입니다.
임대인이 계약 전후로 준비를 잘 해두면, 세입자와의 관계도 부드럽고, 관리도 훨씬 쉬워집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다섯 가지 항목은 임대인의 기본 점검 리스트이자,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보호 장치입니다.
'투자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조건(양도소득세) - 부동산 매도 시 꼭 알아야 할 1세대 1주택자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5.05.09 |
---|---|
임차인이 꼭 해야 하는 일 5가지 (0) | 2025.05.08 |
전세 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7가지 (0) | 2025.05.08 |
부동산 계약서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7가지 핵심 조항 (0) | 2025.05.08 |
전세 vs 월세 vs 반전세 – 1인 가구를 위한 최적의 선택 가이드 (0) | 2025.05.08 |
1인 가구를 위한 전세 사기를 피하는 법 (0) | 2025.05.08 |
🔐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실전 가이드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