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절세 및 연말정산

IRP·연금저축 해지하면 무조건 손해? 유지해야 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개인형퇴직연금(IRP)과 연금저축에 가입한다. 하지만 막상 급하게 돈이 필요하거나, 투자 수익이 기대에 못 미칠 때, 해지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IRP와 연금저축은 단기적인 금융상품이 아니라 장기적인 절세 및 노후 대비 상품이기 때문에, 섣불리 해지하면 오히려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IRP와 연금저축을 끝까지 유지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해지 시 발생하는 손해와 유지해야 하는 핵심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자.

IRP·연금저축 해지하면 무조건 손해? 유지해야 하는 이유


1. IRP·연금저축 해지하면 세금 폭탄 맞는다 (세액공제 받은 만큼 토해내야 함)

IRP와 연금저축은 정부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세액공제 금융상품이다. 하지만 세제 혜택을 받고 일정 기간이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중도 해지하면, 기존에 받았던 세금 혜택을 모두 반환해야 한다.

①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전액 반환해야 함

IRP와 연금저축을 유지하면 연간 최대 900만 원(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세액공제로 돌려받았던 금액을 모두 다시 납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 계좌에서 3년간 600만 원씩 납입한 경우

  • 총 납입금: 1,800만 원
  • 총 세액공제 금액: 최대 297만 원(99만 원 × 3년)
  • 중도 해지 시: 297만 원을 다시 세금으로 납부해야 함

 즉, 세액공제를 받은 만큼 다시 세금으로 돌려줘야 하므로, 해지하면 절대 손해다.

② 기타소득세 16.5% 추가 부과

연금저축을 해지하면 단순히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간 동안 발생한 운용 수익에 대해서도 기타소득세 16.5%를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

 

즉, IRP·연금저축을 해지하면

  1.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모두 반환해야 함
  2. 그동안의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16.5%) 추가 부과됨
    이중으로 손해를 보게 되므로, 중도 해지는 최대한 피해야 한다.

2. IRP·연금저축 유지하면 복리 효과로 돈이 더 많이 불어난다

IRP와 연금저축은 단순한 절세 상품이 아니라 장기적인 복리 투자 상품이기도 하다.
특히 세금이 이연(유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유지할수록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① 세금 이연 효과로 복리 수익 극대화

  • IRP와 연금저축 계좌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이자,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이 연금 수령 시까지 유예된다.
  • 즉, 세금을 내지 않고 계속해서 재투자할 수 있어 복리 효과가 더욱 커진다.

일반 계좌와 비교했을 때 차이점

세금이 이연되는 효과만으로도 30년 뒤 약 3억 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② 배당주·채권형 ETF 활용 시 안정적인 연금 수익 가능

IRP와 연금저축을 유지하면서 배당 ETF, 채권 ETF를 활용하면, 노후에도 안정적인 월급처럼 연금을 받을 수 있다.

  • 배당형 ETF: KODEX 200고배당 ETF, TIGER 미국배당성장 ETF
  • 채권형 ETF: KODEX 국고채10년 ETF, TIGER 미국달러채권 ETF

연금저축을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면, 복리 효과와 배당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IRP·연금저축, 중도 인출이 필요할 때 해지 없이 돈을 찾는 방법

IRP와 연금저축은 장기적인 금융상품이지만,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해지하지 않고도 일부 자금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① IRP 대출 활용 (해지 없이 돈 찾기!)

  • IRP 계좌에 적립된 자금을 담보로 퇴직연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 금융사에 따라 연 3~5%대의 저금리로 대출 가능
  • 해지하지 않고도 자금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세제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② 연금저축 중도 인출 (일부 사유에 한해 가능)

연금저축은 원칙적으로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해야 하지만, 특정 사유(파산, 장기 실업, 주택 구입 등)에 한해 중도 인출이 가능하다.

  • 해지가 아니라 부분 인출로 조절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중도 인출보다는 유지하는 것이 더 유리함

IRP 대출 또는 연금저축 부분 인출을 활용하면 해지 없이도 자금을 활용할 수 있다!


4. IRP·연금저축 해지하면 절대 안 되는 이유 총정리

IRP와 연금저축을 해지하면 절대 손해인 이유를 다시 한 번 정리해보자.

① 세금 폭탄: 세액공제 받은 금액 반환 + 기타소득세 16.5% 부과

해지하면 세금 혜택을 모두 잃고, 추가 세금 부담까지 발생!

② 복리 효과로 장기 수익 극대화 가능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면 30년 후 10억 원 이상의 자산을 만들 수도 있음!

③ 해지 없이도 돈을 찾는 방법 존재 (IRP 대출 & 연금저축 중도 인출 활용)

급한 돈이 필요해도 해지할 필요 없이 대출이나 부분 인출로 해결 가능!


결론: IRP·연금저축, 절대 해지하지 말고 끝까지 유지하자!

IRP·연금저축 해지하면 세액공제 반환 + 기타소득세 부담으로 손해가 막대함
장기 유지하면 복리 효과로 수익 극대화 가능 (30년 후 10억 이상 자산 확보 가능!)
해지하지 않고도 대출, 중도 인출 등의 방법으로 자금을 활용할 수 있음

 

절대 중도 해지하지 말고, IRP·연금저축을 끝까지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