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만 해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이렇게 많다고요
결혼은 축복이지만 동시에 ‘현실’입니다.
전세금, 가전, 혼수, 이사비용까지 정말 돈 들어갈 곳이 끝도 없이 많죠.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결혼만 해도 서울시에서 현금처럼 지원되는 제도들이 꽤 많다는 것입니다.
✔ 전세이자 지원
✔ 혼인신고 축하금
✔ 가전제품 구매 환급
이 모든 걸 따로따로 찾으려면 머리도 아프고, 신청 놓치기 일쑤예요.
그래서 지금부터 서울시 신혼부부에게 실질적으로 도움 되는 3가지 혜택만 뽑아 정리해드립니다.
단,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정말 많으니 끝까지 꼭 읽어보세요.
1. 서울시 혼인신고 축하금 – 100만 원 지급 (현금 또는 지역화폐)
📌 누구에게 주나요?
- 2024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한 신혼부부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부부
- 서울시 거주지 기준 & 부부 모두 만 49세 이하
-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신청 필수!
📌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 현금 또는 지역화폐로 100만 원 지급
- 자녀가 있으면 추가 혜택 가능
- 각 자치구 별로 집행 방식 상이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 어떻게 신청하나요?
- 서울시 복지포털 또는 거주지 구청 홈페이지 접속
-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혼인신고 확인서류 필요)
- 신청 완료 후 심사 → 계좌입금 또는 카드 발급
TIP: 혼인신고 후 1년 지나면 신청 불가! 절대 잊지 말고 신청하세요.
2.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 환급 – 최대 30만 원 현금 지원
📌 어떤 가전이 대상이에요?
-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 15종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TV 등) - 에너지소비효율 “등급”과 “적용기준시행일” 2가지 모두 충족하는 가전제품
- 혼수로 사는 제품도 당연히 해당됨!
- 2025년 1월 1일 이후에 구매한 제품이 대상이며 이전에 구매한 제품은 지원대상 아님
📌 지원 조건
- 서울시 거주자 (등본 주소 기준)
- 저소득층, 장애인 등 전기요금 복지할인 가구가 대상
- 제품 구매 후 60일 이내 신청
- 제품 1개당 최대 10만 원, 가구당 최대 30만 원 환급
📌 어떻게 신청하나요?
- 으뜸효율 환급 신청 홈페이지 접속
- 제품 영수증, 보증서, 사진 업로드
- 계좌입력 → 지정일에 현금 입금
👉 TIP: 무조건 새 제품이어야 하며, 중고·리퍼는 불가!
3.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이자 지원 – 최대 연 600만 원 절약 효과
📌 이런 분이라면 꼭 신청하세요
-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 연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맞벌이: 약 1억 3천만원 이하)
- 본인 및 배우자 무주택자
- 전세 계약 또는 대출 예정자
📌 어떤 혜택을 주나요?
- 서울시가 전세자금 대출 이자 일부 지원
- 최대 연 600만 원까지 지원 가능
- 지원은 1년 단위로, 최대 4년까지 가능
👉 TIP: 은행 대출 실행 전에 서울시에서 ‘이자 지원 신청서’ 먼저 접수해야 함!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 가능
마무리하며 : ‘몰라서 못 받는 사람’이 되지 마세요
지원금 제도는 알고만 있어도 수백만 원 절약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신혼이라는 시작점에서, 서울시가 제공하는 이 실질적인 3가지 혜택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미래의 자산을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어요.
“복잡해서 안 할래요...”가 아니라,
“한 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신청하면 의외로 간단합니다.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신혼살림 준비 중이라면
오늘 이 3가지 제도만큼은 꼭 신청해보세요.
📌 요약 체크리스트
혼인신고 축하금 | 100만 원 | 구청 홈페이지 |
가전 구매 환급 | 최대 30만 원 | 으뜸효율 환급 포털 |
전세이자 지원 | 연 600만 원 절감 가능 | 서울주거포털 |